딸아 넌 대장금이 되지 말거라.
박기수(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지난 설에 일입니다. 초등학교 2학년 3학년인 처남네 아이들이 세배를 와서는 노래를 들려주었습니다. “오나라 오나라……” 아내와 저는 신기해서 웃고, 장모님은 대견해서 웃고, 큰딸은 부러워서 웃고, 작은딸은 우리가 모두 웃으니까 웃었습니다. 인터넷에 가사를 다운 받아서 고모네 가서 들려준다고 며칠 연습을 했답니다. 물론 처남네 아이들이 이틀 간 머무는 사이에 두 딸들도 그 노래를 배웠고, 할아버지 생신날 멋지게 불렀지요.
<대장금>의 인기를 설명하는 것은 구구한 일입니다. 하지만 <대장금>의 인기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유효한 일이 될 것입니다. 특히 <대장금>은 드라마의 작품성뿐만 아니라 그것의 콘텐츠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한 대표적인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대장금>의 인기는 캐릭터와 공간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캐릭터를 구현하는 곳이 공간적 배경이기 때문에 이 둘은 서로 긴밀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지요. 수라간과 내의원이라는 공간 설정은 ‘음식’과 ‘건강’이라는 코드로 요약이 되며, 이는 ‘지금 이곳’에서 우리의 관심이 가장 많이 모이는 것들입니다. 평소에 볼 수 없는 최고의 음식을 만드는 과정과 시식의 장면을 보여주는 것은 요리 프로에서 자주 볼 수 있었지만 이야기 속에서 구현된 것은 흔치 않은 일로 무척 새로운 일이었습니다. 의술은 <허준> 등을 통해 이미 대중성을 인정받았던 분야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음식은 경쟁의 형태로, 의술은 생사의 절박함으로 등장함으로써 극적 긴장을 높여준다는 것입니다. 어쨌든 이 두 소재는 콘텐츠적 가치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성공적이었다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대장금>은 그것의 인기보다는 성공한 캐릭터나 독창적인 캐릭터가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조금 더 자세히 읽어봅시다. 장금이는 이 시대가 욕망하는 여성입니다. 섬세한 시청자라면 장금이를 보면서 <허준>의 예진아씨와 <인어공주>의 아리영, 그리고 <다모>의 채옥을 쉽게 떠올렸을 것입니다. 예진 아씨의 탁월한 의술과 지고한 정신적 사랑, 아리영의 다재다능함과 복수를 위한 당찬 의지, 채옥의 빼어난 무술실력과 주체적인 삶의 의지 등을 모두 조합하면 장금이가 탄생합니다. 주체적으로 삶을 개척하고, 자기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고, 신분을 넘어선 사랑을 이루어내면서 흔들리지 않는 신념으로 어머니와 스승의 한까지 풀어내는 장금이는 이 시대가 욕망하는 여성형 아니 인간형이 아니겠습니까?
이 말은 옳은 탓에 그릅니다. 옳은 이유는 장금이는 이 시대가 욕망한다는 것이고, 그른 이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의 인물이 아니며 이 시대의 고민을 공유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장금이는 자기 시대를 고민하지 않습니다. 왜 평생 궁녀로 살아야하는지, 어머니와 스승을 죽음으로 내모는 부조리한 현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그 부조리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지 따위는 그녀의 관심이 아닙니다. 극의 후반부에서 장금이가 내의원의 안락함이나 권위를 버리고 백성들 사이의 의원으로 남고자 하는 것 등을 통해서 이러한 한계를 해소하려하지만, 그것이 갈등의 현장인 대궐을 벗어남으로써 이루어내려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여기서 좀더 나가면 그녀를 욕망하는 이 시대의 문제가 남게 됩니다. ‘…짱’에 대한 선망, 누구에게도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자기 처지에 대한 두려움, 평범함을 넘어서고 싶은 보상심리 등이 장금이를 그려내고 있지만, 우리가 한 가지 놓치고 있는 것은 짱 신드롬이 철저한 배제의 원리로 운용이 되며, 우린 대부분 포함이 아닌 배제되는 쪽에 속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장금이를 통해서 두려움을 넘어서고 대리만족을 얻으려는 우리의 심리적 이행은 현실이 누락된 허위의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 작품에서는 장금이를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은 모두 장금이의 성공담을 위한 배경적 캐릭터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한상궁은 인기는 얻었지만 그녀만의 독특한 캐릭터는 얻지 못했고, 같은 이유로 금영은 최상궁의 캐릭터와 다르지 않으며, 민정호는 중종과 변별되지 않는 것입니다. 사실 장금이의 캐릭터도 예진아씨와 아리영 그리고 채옥을 더한 후에 채옥의 무술만 제외하면 만들어지는 캐릭터로서 아니던가요. 문제는 장금이가 이들 캐릭터의 섞어찌개라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한계를 문제의식 없이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주체적인 여성 같지만 여성스러움이나 남성종속적인 구조를 넘어서지 못했고, 주체적인 자기 삶의 의지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처음 기획되었던 부분까지는 어머니와 스승의 복수담을 넘어서지 못했고, 이후에 주체적이 의지를 드러내는 부분은 극적 긴장을 이미 상실했다는 점 등이 그 증거지요.
<대장금> 노래를 부르는 아이에게 묻습니다. 장금이처럼 되고 싶냐고. 요리사가 되고 싶다는 다섯 살 둘째야 물정 모르는 녀석이고, 첫째는 장금이 처럼은 싫고 의사선생님은 되고 싶다며 아비의 염려를 피해갑니다. 그래 그러렴. 염려 많은 아비는 바랍니다. 아이가 장금이 처럼 살지 않기를. 그것은 장금이의 삶이 고단해서가 아니라 그녀가 그녀의 삶을 살지 못했고 자기 시대를 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꾸릴 수 있다면 삶이 고단한들 뭐 그리 대수이겠느냐고. 하지만 끝내 마지막 말은 하지 못합니다.
2004년 《오픈아이》75호
'칼럼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아야 하는데 놀 줄은 모르고-2003년 《오픈아이》 (0) | 2018.07.14 |
---|---|
PS2와 소주 사이-2003년 《오픈아이》 (0) | 2018.07.14 |
잘 먹고 잘 살면 다냐?-2004년 《오픈아이》 (0) | 2018.07.14 |
향수와 염색-2004년 《오픈아이》 (0) | 2018.07.14 |
닭장과 토우슈즈-2004년 《오픈아이》 (0) | 2018.07.14 |